-
함수와 객체와 형태파이썬 2020. 7. 6. 03:55
함수(Function)
함수란 여러 개의 프로그램 명령들을 모아 놓은 것. 새로운 함수 이름과 함수가 호출될 때 실행 될 명령어로 이뤄짐.
객체(Object)
프로그램이 실행 중 사용하는 데이터를 객체(Object)라고 한다. 객체의 크기와 종류는 다양하다. 한편으론 값이 들어있는 즉 공간을 말하기도 한다.
형태(Type)
모든 객체는 형태(Type)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는 어떤 객체가 할 수 있는 일과 객체를 이용해서 할 수 있는 일을 결정한다. 형태에 따라서 할 수 있는 일이 결정된다.
객체 만드는 방법
1. 숫자 객체: 그대로 적어서 만든다.(정수, 실수, 음수, 허수 다 똑같음)
2. 문자열 객체: 따옴표 사이에 적어서 만든다.
3. 논리값 객체: True, False로 적어서 만든다.
복잡한 객체 생성
1.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Constructor)를 불러서 객체를 만든다. (import)
2. 사진을 불러 객체로 보관
3. 튜플은 여러 다른 객체들을 쉼표를 기준으로 모아서 하나의 객체로 만듦
객체의 형태 확인
type()라는 함수를 사용하면 객체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Assign
객체에 이름을 붙여주는 행위를 Assign이라고 하고, 이러한 이름을 붙여주는 문장을 대입문(Assignment)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름을 변수라고 한다. 하나의 객체에 여러 이름을 동시에 붙일 수 있는데 이를 alias라고 한다.
ex) 객체이름 = 실제객체, n=17, robot = 123
변수(Variable)
객체에 붙여준 이름을 변수라 한다. 프로그램 실행 중에도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가 바뀔 수 있다. 이름을 가리키는 객체가 바뀔 수 있어서 변수라고 한다. 또한 한 개의 객체는 여러 이름(변수)를 가질 수 있다.
변수 작성시 주의점
1. 영어문자, 숫자, 특수 문자는 밑줄문자 언더바( _ )만 가능
2. 숫자를 이름의 첫 글자로 사용 불가
3. 이미 프로그래밍 언어에 등록된 키워드와 동일한 이름을 변수로 지정 불가
4. 이름 작성시 대소문자를 구별함
None
프로그램에서 미리 정의한 객체로서 특별한 용도로 쓴다. 객체가 비어있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멤버 변수
객체가 할 수 있는 일은 객체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객체는 멤버함수를 통해 이러한 일들을 할 수 있고 점( . ) 연산자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에 대해서 - 매개변수와 인자 (0) 2020.07.08 함수(Function)에 대해서 (0) 2020.07.08 파이썬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s) (0) 2020.07.03 파이썬 내장함수 (0) 2020.07.03 연산자 - 비트연산자(bitwise Operators), 대입연산자 (0) 2020.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