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
컴파일에 관해서(compile)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7. 8. 00:39
1. 컴파일이란? 컴파일은 소스 코드를 오브젝트 코드로 변환시키는 과정으로, 간단히 말해서 우리가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쓴 언어를 기계어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2. 컴파일의 전체과정 컴파일의 전체 과정은 4단계로 이뤄진다. 프리 프로세서 - 컴파일 - 어셈블 - 링크 (1) 프리 프로세서(preprocessor, 전처리기) 실직적인 컴파일이 이뤄지기 전에하는 선행 과정. 헤더 부분에 해당하는 함수부를 해당 파일로 미리 불러오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2) 컴파일(compile, 컴파일) 프리 프로세서 과정을 거친 소스코드를 어셈블리어로 변환한다. (3) 어셈블(assemble, 어셈블) 소스코드가 컴파일 과정을 거쳐 어셈블리어가 됐을 때, 어셈블리어를 cpu가 이해할 수 있도록 기계어로 ..
-
프로그래밍 관련 단어와 뜻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6. 30. 02:33
프로그램 프로그램이란 입력을 받아서 출력을 내기 위한 순차적인 명령들의 집합을 말한다. 기계어 CPU가 직접 해독하고 실행할 수 있는 이해할 수 있는 비트 단위로 쓰인 컴퓨터 언어. 2진수인 0과 1로 나열되어 있어 해독하고 프로그래밍하기에는 힘들다. 기계어는 CPU제조사마다 다르며, 0과1을 이용해 만들어낸 명령어의 집합을 이야기한다. 어셈블리어와 어셈블러 어셈블리어는 기계어 한 단계 위의 언어로서 기계어와 함께 저급레벨의 언어다. 기계어의 숫자들을 문자로 바꿔서 이해하기 쉽게 만든 언어. 어셈블리어가 기계어와 가장 가깝다고 알려져있지만 그럼에도 CPU는 어셈블리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렇기에 이를 이해하게 만든 것이 어셈블러다. 기계어와 마찬가지로 제조사에 따라 어셈블리어도 달라진다. 컴파일과 컴파일..
-
의사 코드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6. 26. 01:21
의사코드(pseudo code)란? 의사코드란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문법적 제약을 적게 받으며 자연어를 이용해 만든 문장을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하게 배치한 코드를 뜻한다. 의사코드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대략적으로 알고리즘의 작동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작성 전 해당 알고리즘 모델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남들과 같이 보겠다면 어느 정도 규칙을 세워서 보기 좋게 만드는 것이 좋다.
-
이미지 구분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6. 24. 22:32
우리는 컴퓨터를 통해 다양한 것을 표현하고 싶다. 하지만 컴퓨터는 0과 1만 사용할 줄 알고, 이 조합을 통해 숫자와 글자를 표현하는 것을 보았다. 그렇다면 이미지는 어떻게 할까? 이미지와 일반 숫자와 글자를 어떻게 구분할까? 이미지의 구분 컴퓨터는 특정 파일을 열어달라고 요청하면 해당 파일의 첫 비트들의 패턴을 확인하여 이것이 이미지인지 아닌지 확인한다. 그 리고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다양한 형식으로 저장이 가능한데, BMP, JPEG 등의 형식에 따라 이미지 파일의 첫 부분에 비트 데이터의 구조도 다르다.
-
16진법에 대해서 (Hexadecimal)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6. 24. 22:10
앞서 컴퓨터가 데이터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0과 1을 쓰는 이진법과 사람이 데이터를 인식하고 처리는 10진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16진법(Hexadecimal, Hex)라는 방식을 많이 이용한다. 16진법의 구성 16진법은 한 자릿수에 15까지 표현가능한데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총 16가지 숫자와 알파벳을 조합하여 표현한다. 16진법의 필요성 16진법은 2진법에 비해 다양한 데이터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쓰인다. 예를 들어서 십진법 '255'는 이진법으로 '11111111'인데 이는 16진법으로 간단히 'ff'로 표현이 가능하다. 근데 왜 16진법? 왜 굳이 16진법이냐면 16진수 자릿 ..
-
아스키 코드 (ASCII)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6. 24. 21:28
컴퓨터의 표현 방식과 한계와 확장 컴퓨터의 표현 방식은 0과 1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컴퓨터로 숫자 뿐 아니라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것들을 구현하고 싶어함. 그래서 사람들은 텍스트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에 고유의 숫자를 붙여서 표현하고 이를 표준화하여 사용함. 즉 텍스트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텍스트에 매칭된 숫자로 인식해서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뜻이다. 아스키 코드(ASCII)는 왜 문자를 나타내는가? 그건 우리가 이 숫자를 넣으면 이 문자를 나타내기로 하자고 사람들끼리 약속했기 때문이다. 컴퓨터는 숫자를 숫자로 받아들이지 문자로 받지 않는다. 사람들은 기억하기 쉽게 기호화하기 위해 특정 숫자를 나타낼 때 그에 맞는 기호 및 글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약속했고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고..
-
2진수와 10진수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6. 24. 21:06
2진법 컴퓨터는 근본적으로 0과 1을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이렇게 정보 처리하는 최소한의 단위를 비트라고 한다. 이런식으로 숫자 0과 1만을 이용해 숫자를 표현하는 방식을 2진법이라고 한다. 10진법 현재 사람들에게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숫자 표현 방식으로 decimal system이라고도 한다. 0부터 9까지 숫자를 이용해 숫자를 세는 방식이며, 이를 10진법이라고 한다. 컴퓨터의 숫자 세기 위에서 말했듯 컴퓨터는 0과 1을 이용하는 2진법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우리가 생각하는 10진법과는 숫자 표기의 차이가 있다. 보통 십진법에선 9에서 10으로 넘어갈 때 숫자를 한 자리수 올려서 표현하지만, 2진법은 1에서 2로 넘어갈 때 한 자리수 올려서 표현해준다. 예를 들자면 '0 = 0' , '1..
-
비트와 바이트에 대해서컴퓨터 기초/컴퓨터 기초지식 2020. 6. 24. 20:11
비트(binary digit, bit)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량의 단위. 0과 1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는 측정 단위. 컴퓨터 저장 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 바이트(byte) 비트 다음으로 큰 컴퓨터의 저장 단위. 8개의 비트가 모여 만든 것. 보통 컴퓨터가 문자 데이터를 8개의 비트 단위로 묶어서 표현하기 때문에 이 비트 8개를 묶어서 바이트로 표현한다. 즉 8비트는 1바이트다. 바이트는 8개의 비트가 묶인 것이므로 2^8 = 256개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컴퓨터 저장 단위 비트 - 바이트(8비트) - 킬로 바이트(1024바이트) - 메가 바이트(1024킬로바이트) - 기가 바이트(1024메가바이트) - 테라바이트(1024기가바이트) - 페타바이트(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