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셔너리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딕셔너리파이썬 2020. 7. 1. 03:58
1. 딕셔너리 만드는 법 딕셔너리의 경우 key와 value 값이 있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2개의 값이 필요하다. 중괄호 { }로 둘러쌓여 있으며 리스트, 튜플과 다르게 별도의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딕셔너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참고로 딕셔너리의 key값에 리스트는 올 수 없다. 왜냐하면 key값은 바뀌지 않아야 하기 때문. 그래서 튜플이나 문자, 숫자는 올 수 있어도 리스트는 올 수 없다. ex)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2. 딕셔너리에서 key값을 이용해 value값 얻어내기 : x[ "y" ] key와 value는 한쌍이므로 key값을 부르면 value값도 같이 따라온다. * 다만 한개의 key값은 한 개의 value값만 가질 수 있으므로..
-
파이썬 자료형파이썬 2020. 6. 30. 06:05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 즉 데이터의 유형을 말함. 참고로 반복가능한 (iterable) 자료형이란 for 문으로 값을 출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리스트,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집합 등이 있다. 파이썬의 자료형 파이썬의 자료형은 크게 숫자 / 문자 / 리스트 / 튜플 / 세트 / 딕셔너리 등으로 나뉜다. 1. 숫자형(Numbers) 숫자형은 크게 정수형 / 실수형 / 복소수형으로 나뉜다. (1) 정수형(Integer, Int)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를 말함. 소수이하의 값이 없는 자료형. (2) 실수형(Floating, Float) 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나타내는 자료형. 부동소수점 숫자는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정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