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
15. 스프링부트와 AWS - 부트스트랩과 제이쿼리실습/AWS 2021. 5. 8. 07:14
앞서 Index를 통해서 mustache가 제대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해보았다. 이제 앞서 만든 내용을 바탕으로 게시글 조회, 등록, 수정 등의 화면을 만들어야 한다. 우선 그 전에 해당 프로젝트는 부트스트랩, 제이쿼리를 이용하므로 준비할 것이 몇 가지 있다. 부트스트랩, 제이쿼리 모드 라이브러리로서 매번 mustache에 코드를 추가해야한다. 이는 중복되는 코드이므로 이를 레이아웃 방식으로 mustache에 삽입해줄 예정이다. 레이아웃 방식으로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우선 이전에 만든 "/src/main/resources/templates" 폴더 안에 layout폴더를 만든다. 이제 layout폴더 안에 캡쳐샷처럼 "header.mustache", "footer.mustache"를 생성해준다. header...
-
10. 스프링부트와 AWS - 게시글 등록 API 만들기실습/AWS 2021. 5. 7. 02:34
지난번 오늘 쓸 내용을 다루다가 내용이 산으로 가서...게시판을 마저 만들도록 하자. 게시물 등록용 API를 만들기 위해선 총 3개의 클래스가 필요하다. - Request 데이터를 받을 dto - API 요청을 받을 Controller - 트랜잭션, 도메인 기능 간의 순서를 보장하는 Service 간단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요청하는 Controller. 전달받은 내용과 데이터를 전달하는 dto.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ervice. 이렇게 구성을 할 예정이다. 클래스 만들기 위에서 이야기했듯 만들어야 할 클래스는 총 3개다. - src/main/java/com/my/practice00/springboot/controller/PostsApiController - src/main/java/com/m..
-
JSP(JavaServer Pages)란?백엔드/서블릿&JSP 2020. 11. 1. 23:13
JSP란? JSP는 동적인 웹서버에서 동적인 페이지를 만들어 주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다. 설명만 들으면 서블릿(Servlet)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기능적으로는 굉장히 비슷하다. 하지만 아주 큰 차이가 있는데 작성하는 언어의 기반이 다르다는 것이다. 서블릿이 클래스의 형태를 띄고 있고 자바의 형태를 온전히 가져가는데 반해 JSP는 HTML 코드를 기반으로 그 사이에 자바코드를 삽입하는 식으로 만든다. 즉 서블릿은 누가 봐도 자바의 형태고 자바 언어를 쓴다. 하지만 JSP는 HTML 안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는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한다. JSP의 등장 배경 이름: 나이: 사는곳: 예를 들어 위와 같은 HTML 페이지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름과..
-
WEB과 WAS컴퓨터 기초/네트워크 2020. 10. 22. 12:29
WEB과 WAS 흔히 우리가 인터넷의 구조에 대해서 배울 때 서버라는 개념을 배웠다. 이때는 유저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보내주는 것을 단순히 서버 또는 웹서버라고 불렀다. 서버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도식화 하자면 위 그림이 맞다. 실제로 단순히 이미 정형화된 자료만 주고 받는 것은 위와 같이 웹서버 하나로도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동작을 주고 받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면서 서버가 처리해야 할 기능도 늘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WAS(Web Application Server)다. WEB와 WAS의 차이 위에서 말한대로 WEB과 WAS의 차이는 미리 개발자가 만들어둔 정형화된 페이지를 반환하느냐 고객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만들어진 페이지를 반환하느냐의 문제다. 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