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처리
-
예외에서 finally 블럭백엔드/자바 2020. 8. 11. 05:13
finally 블럭 finally 블럭은 예외의 발생 여부 상관없이 실행해야할 코드를 넣는 목적으로 쓴다. try-catch문의 끝에 선택적으로 붙여 사용할 수 있다. finally 블럭 사용법 catch 블럭 끝나는 지점에 'finally'에 대괄호 '{ }'를 붙이고 대괄호 안에 실행할 문장을 넣어준다. try { 실행문; } catch ( 예외) { 대체 실행문; } finally { finally 실행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 try 블럭 System.out.println("예외 finally 테스트입니다."); } catch (Exception a) { // catch 블럭 System.out.println("예외 final..
-
예외 일으키기백엔드/자바 2020. 8. 11. 03:21
예외 일으키기 예외를 처리해서 문제없이 넘어가는 try - catch 방식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예외를 일부러 일으킬 수도 있다. Exception + 참조변수명 = new Exeption( String 삽입 가능); throw 참조변수명;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Exception A = new Exception("예외를 고의로 발생시킵니다."); throw A; } catch (Exception a) { System.out.println(a.getMessage()); a.printStackTrace(); } } 고의로 예외를 발생시킬 때 주의할 점은 이 고의로 만든 예외조차 try-catch 문에 넣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try-catch ..
-
예외 처리하기 try - catch 문백엔드/자바 2020. 8. 11. 02:58
예외 처리하는 이유 예외는 프로그래머가 처리해서 비정상적 종료를 막고 정상적인 실행상태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하다. try - catch 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try를 쓰고 대괄호 안에 예외가 일어날 수 있는 문장을 삽입한다. catch에는 예외가 발생하면 대신 처리할 문장을 입력하면 된다. try는 한번이지만, catch는 여러번 중첩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try {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문장 삽입 } catch ( 일어날 수 있는 예상되는 예외 + 참조변수) { 괄호 안의 예외가 발생하면 대신 이를 처리할 문장 입력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ry { // try + { 예외가 날 수 있는 문장 대괄호 안에 입력 } int result;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