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리제이
-
5. 스프링부트와 AWS - 롬복 활용하기실습/AWS 2021. 4. 28. 01:08
앞서 4번에서는 롬복을 설치해봤다. 그럼 이번에는 이 롬복을 이용해서 기존에 작성한 HelloController 클래스를 변경해볼 예정이다. 1. DTO 폴더 생성 및 DTO 클래스 생성 우선 롬복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TO 클래스가 필요하다. 기존에 만든 controller 패키지 안에 dto 패키지를 생성해준다. dto 패키지 내에 'HelloResponseDto'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생성한다. 2. 어노테이션 입력하기 위처럼 클래스를 생성하고 상단에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을 입력한다. 어노테이션 등록시 단어를 조금만 입력해도 인텔리제이가 자동완성 시켜주므로 이를 이용하자. 어노테이션 입력시 위와 같은 화면이 된다. 어노테이션을 입력하고 'nam..
-
4. 스프링부트와 AWS - 롬복 설치하기실습/AWS 2021. 4. 27. 23:51
롬복(lombok)이란? 자바 개발 시 자주 사용하는 코드인 Getter, Setter 등을 어노테이션으로 자동생성해준다. 이를 통해 코드를 덜 쓸 수 있어 수고가 적어지고 그만큼 오류 가능성이 낮아진다. 1. build.gragle에 코드 추가하기 build.gradle 파일을 클릭한 뒤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해준다. compile('org.projectlombok:lombok')을 입력한다. 코드를 입력한 뒤에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서 라이브러리를 내려 받는다. 2. 롬복 설치하기 'Ctrl + Shift + A'를 눌러서 "plugins"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Marketplace를 누르고 lombok를 검색해 인스톨을 버튼을 눌러준다. 설치가 완료되면 인텔리제이를 재시작한다. 3. 롬복 설정..
-
3. 스프링부트와 AWS - 테스트 코드 작성해보기실습/AWS 2021. 4. 8. 12:48
우리가 보통 코딩을 처음 배울 때는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작 구현을 해본다. 이러한 방법은 아주 간단한 구조의 코드나 개인 프로젝트를 할 때는 유용하다. 예를 들어 연습삼아 10줄도 안되는 코드를 실행하는데 테스트를 하는건 오히려 낭비에 가깝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고 실제로 운용 중인 코드를 다뤄야 할 때는 이야기가 다르다. 매번 프로젝트를 수정할 때마다 눈으로 확인하는 일은 수정할 것도 많고 의외로 시간도 많이든다. 이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다만 해당 실습에서는 해당 파트에서만 테스트 코드에 대해 설명하고 그 뒤 테스트 부분은 가능하면 쓰겠지만...부득이하게 길어지면 생략할 수도 있다. 아무래도 내가 직접 책 쓰는 것도 아니다보니 너무 길어질..
-
2. 스프링부트와 AWS - 인텔리제이로 깃허브 연동하기실습/AWS 2021. 4. 8. 10:58
해당 파트에선 인텔리제이로 깃허브 연동하는 것을 실습할 예정. 해당 실습을 위해선 깃허브 계정이 생성되어있어야 한다. 1. Github 로그인 및 원격 저장소 생성 깃허브에 계정을 만들었다면 이제 인텔리제이로 돌아온다. 인텔리제이에서 Navigate - Search EveryWhere를 눌러서 검색창을 띄운다. 혹은 Ctrl + Shift + A를 누르면 검색창이 뜬다. 검색창이 뜨면 Share Project on GitHub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준다. 원래는 로그인 화면이 뜰 것이다. 나는 이미 연동까지 이 전에 해둔 상태라 바로 원격 저장소에 Repository추가 화면이 떴다. 해당 화면에서 Share를 눌러준다. Share를 눌러주면 연동된 깃허브 계정에 프로젝트와 동일한 이름의 Repositor..
-
1. 스프링부트와 AWS - 프로젝트 시작과 세팅실습/AWS 2021. 4. 8. 10:23
스프링부트를 이용해 게시판을 만들고 AWS로 웹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 연습. 더 나아가 서비스 무중단 상태에서 배포까지 진행할 예정. 책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실습을 진행할 예정임. Gradle 프로젝트로 진행할 예정임. 1. 프로젝트 시작하기 New Project를 눌러서 위와 같이 Gradle - Java를 선택함. GroupId와 ArtifactID를 입력하고 Finish를 선택함. 2. 프로젝트 폴더 설명 - src/main/java: 해당 폴더에는 자바로 작성한 소스코드 - src/main/resources: 해당 폴더에는 자바스크립트, HTML 파일 같은 파일들 - build.gradle: 의존성 관련 설정 및 다양한 설정에 관한 파일 - gradl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