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
-
MySQL 기본 문법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레코드 삭제하기데이터베이스/MySQL 2020. 9. 25. 01:44
일반적으로 많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선 'DELETE'라는 명령어를 통해 데이터를 삭제해준다. MySQL에는 'DELETE' 뿐 아니라 'DROP' 이라는 명령어가 있다. 'DROP'과 'DELETE'의 차이는 뭘까? 가장 큰 차이는 'DROP'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의 구조를 삭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DELETE'는 데이터 그 자체를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법을 보면 더 쉽게 알 수 있다. 1. DROP 예를 들어 코드를 통해 위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와 테이블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삭제해줄 수 있다. DROP DATABASE TestDb; -- 데이터 베이스 삭제 DROP TABLE Student; -- 데이터 베이스 내 테이블 삭제 위처럼 'DROP' + '삭제하고자 하는 데이..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리스트파이썬 2020. 7. 1. 02:52
1. 리스트를 만드는 법 [ ]를 이용한다. 각 요소는 쉼표( , )를 이용하여 구분해준다. 리스트는 자신의 순서값을 가질 수 있으며, 어떤 형태든 저장이 가능하다. 2.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도 문자열과 같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문자열의 경우 인덱싱을 실시할 경우 리스트의 첫 번째 값은 인덱싱 넘버 0부터 시작한다. 예를 들어 a=[5,4,3,2,1,]일 경우 a에서 5는 a[0]의 값을 갖는다. 슬라이싱의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표현할 수도 있고 중간부터 잘라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5,4,3,2,1]일때 a[1:3]은 4,3를 가리키며, a[:2]는 5,4를 a[2:]는 3,2,1을 의미한다. ※ 슬라이싱 주의 사 슬라이싱을 할 땐 숫자를 인덱스 형식으로 세어준다.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