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
람다와 스트림 - 스트림 만들기백엔드/자바 2021. 11. 9. 21:49
2021.09.15 - [백엔드/자바] - 람다와 스트림 - 스트림의 정의와 특징 람다와 스트림 - 스트림의 정의와 특징 스트림의 정의와 그 필요성 한마디로 말하면 컬렉션이나 배열을 다루기 쉽게 만든 것이다. 기존의 컬렉션 프레임웍을 보면 위와 같이 List, Set, Map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 sgcomputer.tistory.com 이전 파트에서는 스트림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봤다. 간단히 복습해보자면 스트림이란 컬렉션의 데이터를 쉽게 다루기 위해 만들어진 인터페이스다. List든 Set이든 Map이든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만 뽑아서 스트림 속에 넣고 가공할 수있다. 그렇다보니 스트림은 원본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만 손쉽게 뽑아 가공이 가능하다. 물론..
-
Tag - 목록(list) 관련프론트엔드/HTML 2020. 8. 19. 01:35
목록만들기 HTML에서 목록 다양한 리스트가 존재한다. 우선 가장 많이 쓰이는 두 가지가 있다. ◎ unordered list(순서가 없는 목록) 항목1 항목2 항목3 항목을 나열하되 순서가 없는 경우 이를 이용한다. ◎ ordered list(순서가 있는 목록) 항목1 항목2 항목2 항목을 나열하는데 순서가 필요한 경우 이를 이용한다. 목록에 속성 주기 ◎ type 속성 항목1 // A. 항목1 출력 항목2 항목2 태그는 목록의순서가 있기 때문에 각 항목 앞에 1,2...같은 숫자가 붙는다. 태그에는 위와 같이 'type'이란 속성을 줘서 이 숫자들을 다른 종류로 바꿀 수 있다. 속성값 설명 1 숫자(기본값) a 영문 소문자 A 영문 대문자 i 로마숫자 소문자 I 로마숫자 대문자 ◎ start 속성 항..
-
컬렉션 List - Stack & Queue백엔드/자바 2020. 8. 16. 05:38
자료구조 중에서 스택(Stack)과 큐(Queue)라는 것이 있다. 흔히 스택은 브라우저의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자료구조다. 큐는 최근 사용 문서, 인쇄작업 대기 목록 등을 구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자료구조다. Stack(스택) 스택(Stack)은 마지막에 저장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는 선입후출 (LIFO, Last In First Out) 자료구조다.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흔히 브라우저의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기능 등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다. 그렇다면 Stack을 List로 구현하려면 ArrayList와 LinkedList 중 어떤 것이 더 적합할까? 바로 ArrayList다. 컬렉션 List - ArrayList ArrayList의 정의와 장점 ..
-
컬렉션 List - ArrayList백엔드/자바 2020. 8. 16. 03:17
ArrayList의 정의와 장점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래스로서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다.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했기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저장 순서가 유지되고 데이터 중복을 허용한다. 간단히 생각하면 우리가 배운 배열의 업그레이드 판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실제로도 데이터의 저장공간으로 배열을 사용하며 배열을 기반으로 한다. ArrayList는 미리 배열의 크기를 입력할 필요가 없고 (물론 미리 입력해서 크기를 지정할 수 있지만, 그 크기를 초과해도 자동으로 배열을 확장해준다.) 한 개의 ArrayList에 다양한 자료형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ArrayList의 자료 저장 및 삭제 방식 ArrayList는 객체(Object) 배열을 이용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
-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백엔드/자바 2020. 8. 16. 02:21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필요성 자바를 배우기 시작하면 데이터 관리를 위한 기능인 배열을 배우게 된다. 하지만 배열은 사용하다보면 여러 면에서 한계가 드러난다. 그 중에서 가장 큰 한계 중 하나는 배열을 선언시 크기를 미리 지정해야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정수형 데이터 3개를 넣을 수 있는 배열을 선언했다고 가정해보자. 여기서 3개의 정수형 데이터까지는 정상적으로 입력되지만, 4개부터는 컴파일 오류를 발생시킨다. 자바를 이용해 계속 개발하다보면 배열의 크기를 미리 가늠할 수 없는 경우가 더 많다. 그럴때마다 별도의 처리를 해주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배열은 단 한가지 타입의 데이터만 입력이 되므로 이러한 점도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배열의 한계로 인해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컬렉션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