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
파이썬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s)파이썬 2020. 7. 3. 01:50
1. 정규 표현식이란? 정규표현식이란 복잡한 문자열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기법. 파이썬 뿐 아니라 문자열을 처리하는 모든 곳에서 사용한다. 2. 정규 표현식의 필요성 정규 표현식을 이용하면 직관적이고 간편한 코드를 짤 수 있고 복잡한 문자열의 규칙 등을 쉽게 치환할 수 있다. 3. 정규 표현식의 기초, 메타문자 ※ 메타 문자란 원래 그 문자가 가진 뜻이 아닌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는 문자를 말한다. . ^ $ * + ? { } [ ] \ | ( ) 4. 메타문자 (1) 문자 클래스 [ ] "[ ] 사이의 문자들과 매치"란 뜻. 메타 문자 [ ] 안에는 어떤 문자도 들어갈 수 있다. [ ] 안에 하이픈( - )을 사용하면 두 문자 사이의 범위(from - to)를 의미한다. ex) [a-zA-Z] : 알파벳..
-
파이썬하면서 햇갈리는 함수와 그 성질들파이썬 2020. 7. 2. 05:30
# 정수(int), 문자열(string), 리스트(list), 튜플(tuple), 세트(set) 1. len( x ) * 변수의 리터럴 값이 정수형(int)일 경우 사용할 수 없다. >>> a = 1 >>> len(a)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TypeError: object of type 'int' has no len() * 문자열, 리스트, 튜플, 세트일 때는 가능하다. * 문자열을 셀 때는 공백, 기호 포함 문자열의 내 모든 문자의 수를 세어준다. >>> a = [1,2,3] >>> len(a) 3 >>> a = (1,2,3) >>> len(a) 3 >>> a = {1,2,3} >>> len(a) 3 >>> a = "pytho..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불, 불리언, 논리자료형파이썬 2020. 7. 1. 06:06
1. 불(bool) 자료형이란? 참(True)와 거짓(False)를 나타내는 자료형으로서 참과 거짓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변수를 bool 자료형으로 지정할 때는 꼭 True, False와 같이 앞을 대문자로 써야하고 굳이 문자열처럼 따옴표를 쓸 필요가 없다. 2. 쓰임새 조건문의 반환값으로 쓰여서 해당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나타낼 때 쓰인다. 3. 자료형의 참과 거짓 조건이 아닌 자료형에도 참과 거짓이 있다. 문자열, 딕셔너리, 리스트, 튜플 등에서 안의 값이 비어있는 상태면 거짓(False)이고 값이 있다면 참(True)이다. 숫자는 0일때 거짓이고, 숫자가 있으면 참이다. None값은 거짓이다. ex) 자료형별 참과 거짓 "python" : 참 "" : 거짓 [1,2,3] : 참 [..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집합자료(set)파이썬 2020. 7. 1. 05:51
1. 집합 자료형(set) 만들기 : set ( x ) set를 만들기 위해서는 set( ) 함수를 써서 요소들을 넣어주면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 a = set([1,2,3]) >>> a {1, 2, 3} 2. 집합 자료형의 특징 *집합 자료형의 가장 큰 특징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것과 순서가 없다는 것이다. 아래 예시와 같이 set()함수를 써줄 경우 그 안에 있는 요소들은 중복이 사라진다. >>> a = set("hello") >>> a {'h', 'o', 'l', 'e'} 3. 집합 자료형으로 인덱싱 하는 법 * 집합 자료형은 앞서 말했듯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이 불가능하다. * 인덱싱을 위해서 리스트 혹은 튜플로 변경하여 인덱싱을 해야한다. >>> a = set([1,2,3,4,5])..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딕셔너리파이썬 2020. 7. 1. 03:58
1. 딕셔너리 만드는 법 딕셔너리의 경우 key와 value 값이 있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2개의 값이 필요하다. 중괄호 { }로 둘러쌓여 있으며 리스트, 튜플과 다르게 별도의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딕셔너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참고로 딕셔너리의 key값에 리스트는 올 수 없다. 왜냐하면 key값은 바뀌지 않아야 하기 때문. 그래서 튜플이나 문자, 숫자는 올 수 있어도 리스트는 올 수 없다. ex)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2. 딕셔너리에서 key값을 이용해 value값 얻어내기 : x[ "y" ] key와 value는 한쌍이므로 key값을 부르면 value값도 같이 따라온다. * 다만 한개의 key값은 한 개의 value값만 가질 수 있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