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
-
서블릿에서 한글 문자 인코딩하기백엔드/서블릿&JSP 2021. 1. 13. 12:32
문자 인코딩이란? 컴퓨터는 숫자 0,1로 모든 것을 인식한다. 그러나 사람은 0,1로 컴퓨터와 소통을 하기에는 제한적인 부분이 많다. 이에 사람들은 문자 코드란 것을 만들었다. 문자에 대응하는 숫자를 만들어 사람은 문자를 입력하되 컴퓨터는 숫자로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자 코드들은 나라마다 문자가 다른만큼 호환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웹 상에선 이러한 문자들을 온전히 표현하기 위해 인코딩이란 것을 한다. 특히 한글의 경우 영어와는 문자 코드 자체가 다르고 복잡성때문에 이러한 인코딩을 하지 않으면 웹 상에서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인코딩 테스트입니다 어떻게 나올까요? 위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해보자. 어떠한 인코딩없이 그냥 바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물이 나온다...
-
forward와 sendRedirect 차이백엔드/서블릿&JSP 2021. 1. 11. 21:15
RequestDispatcher와 forward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고 이를 다른 리소스(서블릿, html, jsp)로 넘겨주는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 RequestDispatcher는 javax.servlet 패키지에 포함된 인터페이스로 위 정의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RequestDispatcher 인터페이스는 두 가지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forward()다. forward()는 위에서 말한 RequestDispatcher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서드다. forward()은 사용자 요청에 의해 컨테이너에서 생성된 request와 response를 다른 리소스(서블릿, jsp, html)로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법은 아래 코드와 같다. @WebServlet..
-
javax.servlet 패키지백엔드/서블릿&JSP 2021. 1. 6. 18:57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public class Test extends HttpServlet { } 우리가 흔히 쓰는 서블릿은 위와 같이 HttpServlet라는 추상 클래스를 상속 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HttpServlet의 상속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HttpServlet 추상 클래스는 Gener..
-
HTTP의 특징과 메시지 주고 받는 방법(헤더와 바디)컴퓨터 기초/네트워크 2020. 11. 25. 00:53
HTTP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TML 문서를 교환,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하면 서버가 응답(Response)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뤄진다. WEB에서 가장 기초적인 데이터 교환 방법이며 가장 널리 쓰인다. HTTP의 특징 1. HTTP는 Stateless다. 간단히 풀어쓰면 HTTP 프로토콜은 현재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한 개의 요청을 하면 한 개의 응답을 할 뿐이다. 한 개의 클라이언트가 여러 요청을 해도 그걸 저장한 후 모아서 한 개로 응답한다 이런 개념이 없다. 다만 사용자의 상태를 저장할 수 있게 도와주는 쿠키, 세션등을 이용하면 이러한 Stateless 상태를 극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