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
JSP(JavaServer Pages)란?백엔드/서블릿&JSP 2020. 11. 1. 23:13
JSP란? JSP는 동적인 웹서버에서 동적인 페이지를 만들어 주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다. 설명만 들으면 서블릿(Servlet)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기능적으로는 굉장히 비슷하다. 하지만 아주 큰 차이가 있는데 작성하는 언어의 기반이 다르다는 것이다. 서블릿이 클래스의 형태를 띄고 있고 자바의 형태를 온전히 가져가는데 반해 JSP는 HTML 코드를 기반으로 그 사이에 자바코드를 삽입하는 식으로 만든다. 즉 서블릿은 누가 봐도 자바의 형태고 자바 언어를 쓴다. 하지만 JSP는 HTML 안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는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한다. JSP의 등장 배경 이름: 나이: 사는곳: 예를 들어 위와 같은 HTML 페이지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름과..
-
HTTP란? WWW란?컴퓨터 기초/네트워크 2020. 10. 26. 05:53
흔히 우리가 인터넷을 할 때 특정 홈페이지를 찾아가기 위해서 위와 같이 주소창에 주소를 친다. 하지만 정작 우리가 흔히 보는 이 주소의 뜻은 잘 모르고 그동안 사용해왔다. 그냥 주소로서 인식할 뿐이지 앞의 'http'는 무엇인지 'www'는 무엇인지 몰랐다. 하지만 서버 관련 공부를 하기 전에 기초적인 지식으로 알고 가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정리한다. HTTP란?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하이퍼 텍스트를 교환,전송을 위한 통신 규약이다. 예를 들어 각각 다른 회사가 만든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두 컴퓨터는 사양도 다르고 부품도 다르고 심지어 안에 들어가있는 프로그램마저 다르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 컴퓨터를 통신..
-
WEB과 WAS컴퓨터 기초/네트워크 2020. 10. 22. 12:29
WEB과 WAS 흔히 우리가 인터넷의 구조에 대해서 배울 때 서버라는 개념을 배웠다. 이때는 유저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보내주는 것을 단순히 서버 또는 웹서버라고 불렀다. 서버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도식화 하자면 위 그림이 맞다. 실제로 단순히 이미 정형화된 자료만 주고 받는 것은 위와 같이 웹서버 하나로도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동작을 주고 받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면서 서버가 처리해야 할 기능도 늘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WAS(Web Application Server)다. WEB와 WAS의 차이 위에서 말한대로 WEB과 WAS의 차이는 미리 개발자가 만들어둔 정형화된 페이지를 반환하느냐 고객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만들어진 페이지를 반환하느냐의 문제다. 조금..
-
MySQL이란?데이터베이스/MySQL 2020. 9. 22. 13:04
MySQL이란?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이다. 오픈 소스이고, 다중 스레드와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고 있다. 처음에는 다른 곳에서 만들었으나 현재는 돌고 돌아 오라클의 소유가 되었다. 오픈 소스임에도 오라클의 소유가 되고 다양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있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SQ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정의, 조작,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다. 따라서 SQL 구문도 위의 목적에 맞게 구분가능하다. 1.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을 생성, 삭제, 구조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주요 명령어로는 CREATE, ALTER, DROP 등. 2. DML (Data Manipulat..
-
데이터 베이스란?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기본 2020. 9. 22. 12:31
데이터 베이스의 정의와 고안 이유 데이터 베이스는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함. 이는 중복된 데이터를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는 여러 업무에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1.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즉각적인 처리와 응답 2. 생성, 수정, 삭제를 통해 최신 데이터를 유지 3. 사용자들이 원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공유 4.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주소가 아닌 내용에 따라 참조 가능 5.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는 독립되어 있으므로, 둘은 별개로 작동함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데이터베이스는 그동안 많이 발달했고 그만큼 많은 종류의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 1. 계층형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가 계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