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데이터 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기본 2020. 9. 22. 12:31

    데이터 베이스의 정의와 고안 이유

    데이터 베이스는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함.

     

    이는 중복된 데이터를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는 여러 업무에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1.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즉각적인 처리와 응답

     

    2. 생성, 수정, 삭제를 통해 최신 데이터를 유지

     

    3. 사용자들이 원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공유

     

    4.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주소가 아닌 내용에 따라 참조 가능

     

    5.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는 독립되어 있으므로, 둘은 별개로 작동함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데이터베이스는 그동안 많이 발달했고 그만큼 많은 종류의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

    1. 계층형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가 계층적, 상하 종속적인 관계로 구성.

     

    트리형태의 수직적 데이터 모델. 상위 레코드를 삭제할 경우 아래 종속된 데이터도 삭제됨.

     

    장점: 1:N 관계의 데이터 처리에 능하다. 데이터 처리가 빠르다.

    단점: 데이터 트리 구조 내에서 순환이 불가하고, 한번 구축 후에 변경이 어렵다.

    2. 네트워크형 데이터 베이스

    망형이라고도 불리는 데이터 베이스. 계층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트리 구조를 확장한 형태.

     

    N:N으로 대응되는 데이터도 처리가 가능하다.

     

    장점: 데이터 추출이 빠르고 효과적이며 계층형에 비해 유연성, 접근성이 향상

    단점: 자료들끼리 복잡하게 연결되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상대적으로 힘들다.

    3.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들 간 1:1 관계를 유지한다.

     

    즉 데이터를 행과 열을 가진 2차원의 표로 체계화하여 관리함.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대중적인 데이터 베이스다.

     

    SQL이라는 언어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 접근함.

     

    장점: 업무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변화하는 업무에 쉽게 활용 가능.

    유지 보수 편함, 데이터의 무결성이 높다. 구조적 독립성을 지닌다.

     

    단점: 대량의 데이터 입력 처리가 힘들다. 테이블 자체에 변경이 있을 경우 변경이 쉽지 않다.

    4. 비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DB용 언어인 SQL을 주로 쓰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와는 다르다는 의미로 NoSQL이라고도 부른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비정형, 반정형의 데이터들의 저장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필요가 없다는 게 아니라 개선, 보완의 의미.

     

    기존에 많이 사용하고 주류였던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와는 다르게 작동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장점: 대용량 데이터 처리, 분산 처리, 클라우딩 컴퓨터, 빠른 읽기와 쓰기

    종류: key/value / document / Big Table / 

    5. 객체 지향 데이터 베이스

    해당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들을 객체형태로 다룬다.

     

    과거에는 잠깐 반짝했으나 현재는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베이스다.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DBC란? (Java Database Connectivity)  (0) 2021.02.0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0) 2020.09.24
    CRUD란?  (0) 2020.09.23
    NoSQL이란?  (0) 2020.09.22
    DBMS란?  (0) 2020.09.2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