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
CSS - visibility, z-index프론트엔드/CSS 2020. 8. 24. 01:54
visibility 1번 박스 2번 박스 3번 박스 visibility는 해당 요소의 공개 여부를 결정하는 속성이다. visibility를 속성으로 부여하고 속성값으로 'hidden'을 주면 해당 요소는 화면에서 숨겨진다. 하지만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공간을 차지한다. 예시에선 visibility가 hidden된 box2가 눈에 보이진 않지만, 위치는 차지하게 된다. z-index 1번 박스 2번 박스 3번 박스 각종 요소를 배치하다보면 해당 요소들이 겹칠 수 있다. 이때 'z-index'값을 설정하면 해당 요소들이 겹쳤을 때 어떤 요소가 앞에 올지 정할 수 있다. 'z-index'값이 높을 수록 해당 요소가 가장 앞으로 나오게 되어있다. 예시에선 3번 박스의 'z-index'값이 가장 크므로 ..
-
CSS - position프론트엔드/CSS 2020. 8. 24. 01:22
position이란? 웹 문서 안의 각종 요소들을 자유자재로 배치해주는 속성이다. position 속성을 이용하면 텍스트, 이미지 등 여러 요소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다. position의 속성값 각 요소는 position의 속성값 4개 중 한 개를 부여할 수있다. 그리고 해당 요소는 right, left, top, bottom을 이용해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속성값 설명 static static은 position 속성의 기본 값. 해당 스타일이 적용된 태그의 위치에 고정. 요소들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top, left, right, bottom 등은 사용 불가 relative static 속성과 마찬가지로 해당 스타일이 적용된 태그의 위치에 나타남. 하지만 static과 달리 고정이 아님..
-
CSS - 레이아웃프론트엔드/CSS 2020. 8. 24. 00:21
웹페이지 구성시 CSS를 활용하면 더욱 다양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box-sizing 첫번째 박스입니다. 두번째 박스입니다. 세번째 박스입니다. 웹 문서에서 여러 요소 배치시 요소의 너비를 계산해야 한다. 하지만 'width' 속성을 이용할 경우 'content'영역의 너비만 적용된다. 'box-sizing'을 이용하면 'content+padding+border'합쳐서 한 번에 너비를 지정할 수 있다. 속성값을 'content-box'로 주면 콘텐츠 영역만 너비 값으로 사용한다. 속성값을 'border-box'로 주면 콘텐츠 영역+패딩영역+테투리까지 너비 값으로 사용한다. float 속성 박스 입니다. 본문입니다.본문입니다.본문입니다.본문입니다.본문입니다.본문입니다.본문입니다. 본문입니다.본문입..
-
CSS - 목록 스타일프론트엔드/CSS 2020. 8. 23. 22:08
HTML 문서 내에 목록을 만들 때 목록 앞에 오는 불릿을 CSS로 바꿔줄 수 있다. 'list-style-type'을 속성으로 주고 다양한 속성값을 줘서 불릿 모양을 바꿀 수 있다. 리스트 { list-style-type: 속성값; } 국어 수학 영어 국어 수학 영어 속성 값을 다양하게 줘서 불릿을 바꿀 수 있다. 속성 값을 다음과 같다. 속성 값 설명 예시 decimal 1로 시작하는 십진수 1, 2, 3, 4, 5 ...... 10, 11 decimal-leading-zero 앞에 0이 붙는 십진수 01, 02, 03, 04, 05 ..... 09, 10, 11 lower-roman 소문자 로마 숫자 ⅰ, ⅱ, ⅲ ... ⅹ upper-roman 대문자 로마 숫자 Ⅰ, Ⅱ, Ⅲ ..... Ⅸ, Ⅹ ..
-
-
CSS의 적용 우선 순위프론트엔드/CSS 2020. 8. 23. 21:15
문서를 쓰다보면 하나의 요소에 여러 개의 스타일이 적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충돌한다. 이 경우 CSS 적용 우선 순위에 따라 정해진다. 1순위. 인라인 스타일 p 태그입니다. id나 class로 스타일을 적용해도 태그에 직접 'style' 속성값을 주는 인라인 스타일이 가장 먼저 적용된다. 2순위. id 스타일, class 스타일 안녕하세요! 한 태그에 id값과 class 값이 동시에 부여되고 적용될 경우 id의 스타일을 우선 적용한다. 위 예시 같은 경우는 최종적으로 글자 색상이 'red'가 아니라 'blue'가 적용된다. 3순위. 태그 스타일 p 태그입니다. 위와 같이 일반적으로 태그를 선택자로 지정해서 스타일링 하는 경우 id와 class에 밀린다. 최 후순위로 스타일이 적용된다.
-
선택자 (selector)프론트엔드/CSS 2020. 8. 23. 20:56
1. 선택자란? 기존 HTML 스타일링은 HTML 문서 내에서 이뤄졌고 태그 내에 일일히 스타일링을 적용해야했다. 하지만 CSS가 등장하면서 태그에 대한 접근법이 달라졌다. CSS 문서를 외부에 만들거나 div 태그입니다. div 태그입니다 - 1 div 태그입니다 - 2 div 태그입니다 - 3 클래스 선택자 스타일 적용하려는 태그에 class 값을 준 뒤 해당 클래스 값을 선택자로 지정할 수 있다. 해당 클래스 값을 선택자로 지정할 땐 앞에 점 ( . )을 찍어줘야 한다. 클래스는 동일한 값을 여러 태그에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성격 등이 비슷한 태그는 하나의 클래스로 묶어서 스타일 적용이 가능하다. .class 명 { 속성 : 속성값 } 안녕하세요! id 선택자 스타일을 적용하려는 태그에 id값을..
-
<style> 태그의 적용프론트엔드/CSS 2020. 8. 23. 20:17
CSS는 안녕하세요! 태그 안에 태그를 쓰고 스타일링을 해줄 수 있지만 명시성이 떨어진다. 3. 'style'을 속성 값으로 주는 경우 안녕하세요! 스타일링을 원하는 태그 안에 'style'의 속성 값을 준 뒤 그 안에서 해당 태그를 꾸며주면 된다. 4. HTML과는 다른 별도의 Style 전용 문서를 만드는 경우 태그를 따로 써서 css를 분리하더라도 css가 너무 길어질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에는 css 전용 문서를 만들어서 불러오는 방법도 있다. CSS 전용 문서는 아래와 같이 별도의 형식이 없이 식별자, 속성, 속성값만 주면 된다. p{ font-size: 50px; color: red; } 그 뒤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CSS를 쓴 스타일 시트를 안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