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튜플파이썬 2020. 7. 1. 03:07
1. 튜플을 만드는 법과 특징
튜플은 여러 객체를 한 번에 가지는 객체로서 튜플은 ( )로 둘러싸서 만든다.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리스트와 달리 요소의 생성,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다. 다만 외부에서 요소를 더하거나 슬라이싱은 가능하다.
2. 인덱싱와 슬라이싱
튜플도 리스트와 똑같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방법은 같다. a=(1,2,3,4)일 때 a[0]의 값은 1이다. a[1:]의 값은 2,3,4이다.
※ 슬라이싱 주의사항
슬라이싱을 할 땐 숫자를 인덱스 형식으로 세어준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 = (1,2,3,4,5) >>> a[0] = 1 >>> a[1] = 2 >>> a[2] = 3 >>> a[3] = 4 >>> a[4] = 5
하지만 슬라이싱을 할 때는 슬라이싱의 뒤에 오는 숫자에서 -1을 한 인덱스넘버가 해당 결과값의 마지막에 온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 = (2,3,4,5,6) >>> a[0:3] 2,3,4 #슬라이싱해준 최종 숫자에서 -1을 한 인덱스 넘버가 결과값의 끝에 온다. #즉 a[0:3]은 인덱스 넘버 0,1,2를 결과값으로 나왔다. >>> a[0:4] #슬라이싱 a[0:4]다. 하지만 결과값은 여기서 -1을하고 이것을 인덱스에 반영한다. 2,3,4,5 #인덱스 넘버 0,1,2,3 값인 2,3,4,5가 결과값으로 나왔다. >>> a[0:5] #슬라이싱 a[0:5]다. 하지만 결과값은 여기서 -1을 하고 이것을 인덱스에 반영한다. 1,2,3,4,5 #인덱스 넘버 0,1,2,3 값인 2,3,4,5가 결과값으로 나왔다.
3. 튜플의 사칙연산
튜플의 경우 앞서 말했듯 빼기와 삭제가 불가능하다. 다만 더하기와 곱하기는 가능하다.
* 더하기는 다른 튜플과 합해서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 곱하기는 자기 자신만 곱하는 것이 가능하다.
>>> a=(1,2,3) >>> b=(4,5) >>> a+b (1, 2, 3, 4, 5)
>>> a=(1,2,3) >>> a*3 (1, 2, 3, 1, 2, 3, 1, 2, 3)
4. 튜플 길이 구하기 : len( x )
튜플도 리스트와 똑같이 길이를 구할 수 있다.
>>> a=(1,2,3,4) >>> len(a) 4
5. 튜플 풀어주기
튜플의 경우 각 요소를 변수를 지정해서 튜플 안에서 풀어줄 수 있다.
>>> a=("가", "나", "다") >>> x,y,z = a >>> x '가' >>> y '나' >>> z '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집합자료(set) (0) 2020.07.01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딕셔너리 (0) 2020.07.01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리스트 (0) 2020.07.01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문자열 (0) 2020.06.30 파이썬 자료형 (0) 202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