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불, 불리언, 논리자료형파이썬 2020. 7. 1. 06:06
1. 불(bool) 자료형이란? 참(True)와 거짓(False)를 나타내는 자료형으로서 참과 거짓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변수를 bool 자료형으로 지정할 때는 꼭 True, False와 같이 앞을 대문자로 써야하고 굳이 문자열처럼 따옴표를 쓸 필요가 없다. 2. 쓰임새 조건문의 반환값으로 쓰여서 해당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나타낼 때 쓰인다. 3. 자료형의 참과 거짓 조건이 아닌 자료형에도 참과 거짓이 있다. 문자열, 딕셔너리, 리스트, 튜플 등에서 안의 값이 비어있는 상태면 거짓(False)이고 값이 있다면 참(True)이다. 숫자는 0일때 거짓이고, 숫자가 있으면 참이다. None값은 거짓이다. ex) 자료형별 참과 거짓 "python" : 참 "" : 거짓 [1,2,3] : 참 [..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집합자료(set)파이썬 2020. 7. 1. 05:51
1. 집합 자료형(set) 만들기 : set ( x ) set를 만들기 위해서는 set( ) 함수를 써서 요소들을 넣어주면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 a = set([1,2,3]) >>> a {1, 2, 3} 2. 집합 자료형의 특징 *집합 자료형의 가장 큰 특징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것과 순서가 없다는 것이다. 아래 예시와 같이 set()함수를 써줄 경우 그 안에 있는 요소들은 중복이 사라진다. >>> a = set("hello") >>> a {'h', 'o', 'l', 'e'} 3. 집합 자료형으로 인덱싱 하는 법 * 집합 자료형은 앞서 말했듯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이 불가능하다. * 인덱싱을 위해서 리스트 혹은 튜플로 변경하여 인덱싱을 해야한다. >>> a = set([1,2,3,4,5])..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딕셔너리파이썬 2020. 7. 1. 03:58
1. 딕셔너리 만드는 법 딕셔너리의 경우 key와 value 값이 있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2개의 값이 필요하다. 중괄호 { }로 둘러쌓여 있으며 리스트, 튜플과 다르게 별도의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딕셔너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참고로 딕셔너리의 key값에 리스트는 올 수 없다. 왜냐하면 key값은 바뀌지 않아야 하기 때문. 그래서 튜플이나 문자, 숫자는 올 수 있어도 리스트는 올 수 없다. ex)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2. 딕셔너리에서 key값을 이용해 value값 얻어내기 : x[ "y" ] key와 value는 한쌍이므로 key값을 부르면 value값도 같이 따라온다. * 다만 한개의 key값은 한 개의 value값만 가질 수 있으므로..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튜플파이썬 2020. 7. 1. 03:07
1. 튜플을 만드는 법과 특징 튜플은 여러 객체를 한 번에 가지는 객체로서 튜플은 ( )로 둘러싸서 만든다.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리스트와 달리 요소의 생성,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다. 다만 외부에서 요소를 더하거나 슬라이싱은 가능하다. 2. 인덱싱와 슬라이싱 튜플도 리스트와 똑같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방법은 같다. a=(1,2,3,4)일 때 a[0]의 값은 1이다. a[1:]의 값은 2,3,4이다. ※ 슬라이싱 주의사항 슬라이싱을 할 땐 숫자를 인덱스 형식으로 세어준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 = (1,2,3,4,5) >>> a[0] = 1 >>> a[1] = 2 >>> a[2] = 3 >>> a[3] = 4 >>> a[4] = 5 하지만 슬라이싱을 할 때는 슬라이싱의 뒤..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리스트파이썬 2020. 7. 1. 02:52
1. 리스트를 만드는 법 [ ]를 이용한다. 각 요소는 쉼표( , )를 이용하여 구분해준다. 리스트는 자신의 순서값을 가질 수 있으며, 어떤 형태든 저장이 가능하다. 2.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도 문자열과 같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문자열의 경우 인덱싱을 실시할 경우 리스트의 첫 번째 값은 인덱싱 넘버 0부터 시작한다. 예를 들어 a=[5,4,3,2,1,]일 경우 a에서 5는 a[0]의 값을 갖는다. 슬라이싱의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표현할 수도 있고 중간부터 잘라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5,4,3,2,1]일때 a[1:3]은 4,3를 가리키며, a[:2]는 5,4를 a[2:]는 3,2,1을 의미한다. ※ 슬라이싱 주의 사 슬라이싱을 할 땐 숫자를 인덱스 형식으로 세어준다. 예..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문자열파이썬 2020. 6. 30. 16:09
1. 문자열을 만드는 방식 큰 따옴표( " )로 양쪽 둘러싸기 작은 따옴표( ' )로 양쪽 둘러싸기 큰 따옴표( " ) 3개를 연속( """ )으로 써서 둘러싸기 작은 따옴표 3개를 연속( ''' )으로 써써 양쪽 둘러싸기 2. 문자열 안에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포함시키고 싶을 때 문자열 안에 작은 따옴표 ( ' )를 포함시키고 싶으면 문장을 큰 따옴표( " )로 둘러싼다. 문자열 안에 큰 따옴표 ( " )를 포함시키고 싶으면 문장을 작은 따옴표( ' )로 둘러싼다. 3. 여러 줄인 문자열을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 문장 사이에 \n (역슬래시 + n)을 삽입한다. 연속으로 작은 따옴표 3개 ( ''')와 큰 따옴표 ( """ ) 3개를 사용한다. 4. 이스케이프 코드 문자열 처리시 사용할 수 있도..
-
파이썬 자료형파이썬 2020. 6. 30. 06:05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 즉 데이터의 유형을 말함. 참고로 반복가능한 (iterable) 자료형이란 for 문으로 값을 출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리스트,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집합 등이 있다. 파이썬의 자료형 파이썬의 자료형은 크게 숫자 / 문자 / 리스트 / 튜플 / 세트 / 딕셔너리 등으로 나뉜다. 1. 숫자형(Numbers) 숫자형은 크게 정수형 / 실수형 / 복소수형으로 나뉜다. (1) 정수형(Integer, Int)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를 말함. 소수이하의 값이 없는 자료형. (2) 실수형(Floating, Float) 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나타내는 자료형. 부동소수점 숫자는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정확..
-
파이썬 - 변수, 상수, 리터럴파이썬 2020. 6. 30. 03:37
변수(Variable, Var) 사용자가 원하는 수를 임시보관할 수 있는 일종의 그릇. 변수의 이름은 반드시 문자로 시작해야하며, 특수문자는 올 수 없다. 일반적으로 단일 문자(a,b,c...)를 사용하지 않고, 변수 지정시 소문자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상수(constant) 상수는 항상 똑같은 값을 저장하고 있는 곳이라 할 수 있음. 시스템 등에 의해 미리 정해져있는 숫자로서 보통 상수 이름은 대문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 리터럴(liternal) 소스 코드의 고정된 값을 대표하는 용어. 리터럴은 숫자도 될 수 있고 문자도 될 수 있다. 파이썬에는 다양한 리터럴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