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플
-
자료형에 따른 활용법(함수 등) - 튜플파이썬 2020. 7. 1. 03:07
1. 튜플을 만드는 법과 특징 튜플은 여러 객체를 한 번에 가지는 객체로서 튜플은 ( )로 둘러싸서 만든다.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리스트와 달리 요소의 생성,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다. 다만 외부에서 요소를 더하거나 슬라이싱은 가능하다. 2. 인덱싱와 슬라이싱 튜플도 리스트와 똑같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방법은 같다. a=(1,2,3,4)일 때 a[0]의 값은 1이다. a[1:]의 값은 2,3,4이다. ※ 슬라이싱 주의사항 슬라이싱을 할 땐 숫자를 인덱스 형식으로 세어준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 = (1,2,3,4,5) >>> a[0] = 1 >>> a[1] = 2 >>> a[2] = 3 >>> a[3] = 4 >>> a[4] = 5 하지만 슬라이싱을 할 때는 슬라이싱의 뒤..
-
파이썬 자료형파이썬 2020. 6. 30. 06:05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 즉 데이터의 유형을 말함. 참고로 반복가능한 (iterable) 자료형이란 for 문으로 값을 출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리스트,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집합 등이 있다. 파이썬의 자료형 파이썬의 자료형은 크게 숫자 / 문자 / 리스트 / 튜플 / 세트 / 딕셔너리 등으로 나뉜다. 1. 숫자형(Numbers) 숫자형은 크게 정수형 / 실수형 / 복소수형으로 나뉜다. (1) 정수형(Integer, Int)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를 말함. 소수이하의 값이 없는 자료형. (2) 실수형(Floating, Float) 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나타내는 자료형. 부동소수점 숫자는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정확..